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성격의 정의

by 시찰 2021. 2. 6.
반응형

행복하고 성공적인 삶을 위해 우리는 인간으로서 인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누구나 나 자신과 타인의 성격 혹은 인성에 관심을 가지며 살고, 어떻게 서로 잘 이해할 수 있는지에 대한 관심도가 높습니다.

거리낌 없이 자기 표현을 하는 타인과 달리 나는 왜 소극적이며, 타인에게 노출되는 것을 불안해 하는가 

인간관계를 넓히는 것이 정말 어렵게 느껴지는 반면에 다른 사람은 쉽게 사람을 사귀는가

어떠한 선택 상황을 직면했을 때 결정이 어려운 나와 달리 저 사람은 빠른 결정을 내리는가

우리는 이러한 여러 질문을 통해 자신이 하는 행동과 다른 사람들이 하는 행동을 관찰하며 인간에 대한 이해를 추구할 수 있습니다.

관계 속에서 성격에 관련된 표현을 자주하게 되는데, 이는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고 평가를 내리게 되는 과정입니다.

일상 생활에서 다른사람들을 관찰하고 여러 견해를 가지며, 더불어 타인의 성격에 견주어 나의 성격에 대한 견해를 갖게 됩니다.

이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인간행동을 연구하고 성격에 대한 정의를 내리며, 보다 과학적인 방법으로 탐구합니다.

성격은 어원적으로 가면의 뜻을 담은 라틴어 페르소나를 내포한 말로, 다른사람에게 보이는 개인의 모습 및 특성을 나타냅니다.

겉으로 드러난 얼굴 생김새를 통해 성격을 예측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성격은 개인의 특유한 행동과 사고를 결정하는 심리신체적 체계인 개인 내의 역동적 조직이다.

성격은 개인이 접하는 생활 상황에 대해 적응의 특성을 기술하는 사고와 감정을 포함하는 구별된 행동패턴을 의미한다.

성격은 사람들의 심리적 행동에 있어 공통성과 차이를 경정하는 일련의 안정된 경향성과 특성이다.

성격은 개인이 소유한 일련의 역동적이고 조직화된 특성이다.

성격은 인간 행동, 사고, 감정의 특유한 패턴을 창조하는 심리 신체적 체계인 인간 내부의 역동적 조직이다.

성격은 일관된 행동패턴 및 개인 내부에서 일어나는 정신내적과정이다.

성격은 인간의 행동에 일관성과 개별성을 주는 상당히 영구한 특질과 특성의 패턴이다.

성격은 개인의 사고, 정서, 행동의 특정적 패턴이다.

즉, 성격은 사회적 심리적 생물학적으로 인간이 살아가면서 공통성뿐만 아니라 개인의 특성이 반영되어 나타나는 조직화된 특성이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