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관련

겨울철 피부건조증과 한랭두드러기의 증상 및 치료

by 시찰 2021. 1. 12.
반응형

 

춥고 건조하여 발생하는 피부 이상

피부 건조증과 한랭 두드러기를 겪고 계신가요?

 

 

 

폭설과 함께 한파로 낮은 기온의 겨울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피부건조증과 두드러기가 발생하여 고통을 겪는 사람들이 있다.

겨울철 피부 두드러기는 차가운 바람과 낮은 온도의 수분에 노출될 때 발생한다.

다수는 일시적인 증상으로 끝날 수 있지만, 때때로 구토, 설사, 저혈압 등 동반되는 협상을 주의해야 한다.

 

 

 

피부의 수분 부족으로 두껍게 생성되는 각질층과 탄력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특히 겨울이 오면 피부의 유수분 밸런스가 불괴되면서 트러블과 염증 문제가 생긴다.

여기서 끝나지 않고 증상이 심각해지면 가려움증과 건조증상이 나타난다.

 

 

 

대표적으로 한랭 두드러기가 있다.

한생두드러기는 겨울철 찬 기운에 노출된 후 두드러기, 맥관 부종 또는 항원- 항체 반응으로 일어나는 생체의 과민반응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또 단순히 온도변화만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며 특정 자극에 의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단순히 온도의 변화만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며 특정한 자극에 의해 나타난다는 의미다.

원발성 후천성 한랭 두드러기는 소아부터 젊은 성인에게 종종 발생하고, 피부에 고체상태 또는 액체상태의 차가운 자극을 주면 국소 부위에 아프고 가려운 느낌과 부풀어 오르는 증상이 나타난다.

피부 묘기증과 콜린성 두드러기를 겪는 사람은 주의가 필요하다.

만성 두드러기를 겪는 사람 중 3%는 한랭 두드러기를 동반하기 때문이다.

피부묘기증이란 피부를 긁는 등 여러 자극이 가해지면 붉게 부어오르는 현상이다.

콜린성 두드러기는 열을 쐬거나 갑작스러운 심리적 변화로 체온이 높아질 때 나타나는 두드러기이다.

 

 

 

가장 쉬운 예방 방안은 차가운 자극을 막는 것이다.

일부 환자의 경우 장기의 점막과 호흡기에 차가운 자극이 가해지면 호흡곤란과 복통을 동반한 저혈압으로 쇼크에 빠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긴급한 상활을 대처하기 위해서는 에피네프린 관련 약제를 소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두드러기 치료는 항히스타미제를 처방받아 조절한다.

두드러기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각한 경우, 혈관 부종이 있는 경우에는 에피네프린이나 부신피질 호르몬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의학 전문가의 처방에 따라 유전학적 혹은 개별적인 특성에 맞는 치료가 진행된다면 겨울철 피부질환을 호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댓글